일상/잡동사니

스팀을 네트워크 없이 실행하는 법, 쉬운 가이드로 따라 해보자!

TFTC 2025. 3. 19. 23:08
반응형

스팀(Steam)은 게임을 즐기는 데 필수적인 플랫폼이지만, 인터넷이 끊기면 “어떻게 게임을 하지?”라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다. 나도 여행 중에 와이파이가 없는 곳에서 게임을 하고 싶었는데, 스팀이 네트워크 없이는 안 켜진다고 해서 당황했던 적이 있다. 다행히 약간의 준비만 하면 오프라인에서도 스팀을 문제없이 돌릴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이번 글에서는 스팀을 네트워크 접속 없이 실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풀어보려 한다. 인터넷 없이도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이 가이드를 따라 해보자!


스팀 오프라인 모드, 기본 원리부터 이해하기

스팀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연결을 필요로 한다. 게임 업데이트, 클라우드 저장, 친구 목록 같은 기능을 쓰려면 온라인 상태가 필수다. 하지만 스팀에는 ‘오프라인 모드(Offline Mode)’라는 기능이 있어서 네트워크 없이도 미리 설치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단, 이 모드를 제대로 쓰려면 사전에 설정을 해둬야 한다. 스팀 공식 지원 페이지에 따르면, 오프라인 모드는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도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이라고 설명돼 있다.

중요한 건, 오프라인 모드를 처음 켜기 전에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준비를 마쳐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스팀이 실행조차 안 될 수 있다. 준비 과정은 간단하지만, 놓치면 곤란한 부분이 있으니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자.

 


1단계: 로그인 정보 저장하기

스팀을 오프라인으로 실행하려면 가장 먼저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둬야 한다. 인터넷이 끊긴 상태에서 스팀이 “누가 너야?” 하고 확인할 방법이 없으면 로그인 화면에서 멈추기 때문이다. 설정법은 이렇다.

스팀을 켠 상태에서 상단 메뉴에서 ‘Steam > 설정(Settings)’으로 들어가자. ‘보안’ 탭을 보면 ‘이 컴퓨터에 계정 로그인 정보 저장 안 함’이라는 체크박스가 있다. 이게 체크돼 있으면 풀어줘야 한다. 그리고 로그인 창에서 ‘내 비밀번호 기억하기(Remember my password)’를 꼭 체크하자. 이걸 해두면 나중에 인터넷 없이도 스팀이 내 계정을 알아보고 바로 열린다.

내 경험으로는 이 설정을 안 해두고 캠핑 갔을 때 스팀이 아예 안 켜져서 낭패를 본 적이 있다. 그러니 꼭 미리 확인해두자.

 


2단계: 게임 업데이트 완료하기

오프라인 모드에서 게임을 즐기려면 모든 게임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돼 있어야 한다. 스팀은 업데이트가 안 된 게임을 실행하려 하면 “인터넷 연결 필요”라는 메시지를 띄우고 멈춘다. 그러니까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 ‘라이브러리(Library)’에 들어가 즐기고 싶은 게임을 하나씩 확인해보자.

게임 이름 옆에 ‘업데이트(Update)’ 버튼이 보이면 클릭해서 최신 상태로 만들자. 다운로드가 끝난 뒤 게임을 한 번 실행해보는 것도 좋다. IGN 같은 게임 사이트에서도 “스팀 오프라인 모드는 게임이 완전히 설치되고 실행된 상태여야 제대로 작동한다”고 조언한다. 예를 들어, 스카이림 같은 게임은 첫 실행 때 추가 파일을 받을 수 있으니, 이 과정을 미리 끝내놓는 게 낫다.

 


3단계: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하기

이제 준비가 됐으니 오프라인 모드로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 인터넷이 되는 상태에서 스팀을 열고 상단 메뉴에서 ‘Steam > 오프라인으로 전환(Go Offline)’을 클릭한다. 그러면 “오프라인 모드로 시작하시겠습니까?”라는 창이 뜨는데, ‘오프라인 모드로 다시 시작(Restart in Offline Mode)’을 누르면 스팀이 꺼졌다가 오프라인 상태로 다시 켜진다.

이 설정을 해두면 다음부터 인터넷 없이도 스팀을 실행할 수 있다. 단, 스팀 공식 문서에 따르면, 오프라인 모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마지막으로 온라인 상태일 때 스팀을 정상적으로 종료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니 컴퓨터를 끄기 전에 스팀을 강제로 종료하지 말고, 작업 표시줄에서 ‘종료(Exit)’를 눌러 깔끔하게 끝내보자.

 


인터넷 끊긴 상태에서 실행해보기

이제 인터넷을 끊고 스팀을 실행해보자. 와이파이를 끄거나 랜선을 뽑은 뒤 스팀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된다. 정상적으로 설정했다면 스팀이 바로 오프라인 모드로 열리고, 라이브러리에서 설치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온라인 전용 게임(오버워치 2 같은)은 안 되고, 싱글 플레이어 게임(위쳐 3, GTA V) 위주로 즐길 수 있다.

만약 “Steam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뜬다면, 로그인 정보 저장이나 업데이트가 누락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럴 땐 인터넷 있는 곳에서 다시 설정을 점검해야 한다. 나는 이걸 몰라서 처음엔 실패했는데, 두 번째 시도에서 성공하고 나니 정말 편리했다.

 


알아두면 좋은 팁과 한계

유용한 팁

  • 짧게 테스트: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한 뒤 게임 한두 개를 실행해보자. 문제가 없으면 안심하고 인터넷 없는 곳으로 떠날 수 있다.
  • 백업 저장: 스팀 폴더를 외장 하드에 복사해두면 다른 PC에서도 오프라인 모드를 쓸 수 있다. 단,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했던 PC여야 한다.
  • 2주 제한 유의: 스팀은 오프라인 모드로 2주 넘게 쓰면 다시 온라인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여행 계획이 길다면 미리 계산하자.

한계

  • 온라인 기능 불가: 친구 채팅, 스토어, 클라우드 저장은 못 쓴다. 게임 진행은 로컬에만 저장되니 잃어버리지 않게 주의하자.
  • 최초 설정 필수: 인터넷 없이 처음부터 오프라인 모드를 켤 순 없다. 준비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네트워크 없는 스팀, 준비가 전부다

스팀을 네트워크 없이 실행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하다. 로그인 정보 저장하고, 게임 업데이트 끝내고,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하면 끝이다. 이 과정을 미리 해두면 와이파이 없는 산속이나 비행기 안에서도 폴아웃 4 같은 게임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나도 지난 캠핑 때 이 방법으로 스타듀 밸리를 플레이하며 시간을 보냈는데, 인터넷 걱정 없이 몰입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인터넷 없는 환경에서도 게임을 놓치고 싶지 않다면, 지금 스팀 열고 준비 시작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