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IT.과학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 소리를 내 맘대로 컨트롤한다고? 가상 헤드폰, 가상 이어폰 ??

nanze 2025. 3. 19. 12:30
반응형

요즘 들어 새로운 오디오 기술에 대한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그중에서도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이라는 게 눈에 띄더라. 처음엔 “그게 뭐야?” 하며 고개를 갸우뚱했는데, 알아보니 소리를 원하는 공간에만 쏙 가두는 신기한 기술이었다.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볼 때 주변에 방해 안 되고, 나만 즐길 수 있다니, 이거 꽤 매력적이지 않나? 이번 글에서는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이 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자세히 풀어보려 한다. 오디오에 관심 있다면 한번 살펴보길.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이 뭘까?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Localized Sound Zone Pocket Technology)은 쉽게 말해 소리를 특정 구역에만 전달하는 오디오 솔루션이다. 일반 스피커는 소리가 사방으로 퍼져서 옆 사람까지 들리게 마련인데, 이 기술은 소리를 마치 보이지 않는 벽으로 감싸듯 한정된 공간에 가둔다. 예를 들어, 방 안에서 나만 음악을 듣고 옆에 있는 가족은 TV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는 식이다.

이 개념은 2010년대부터 음향 연구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023년에 관련 기술을 발표하면서 화제가 됐다. ETRI는 “개인화된 오디오 경험을 제공한다”며 이 기술을 스마트폰, 자동차, 가정용 기기에 적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소리를 공간적으로 나눠서 각자 다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오디오와는 차원이 다르다.

 


어떻게 소리를 가둘 수 있지?

이 기술의 핵심은 음파 제어에 있다. 국소 사운드 존 포켓은 스피커 여러 개를 배열해 소리의 방향과 간섭을 조절한다. 전문 용어로는 ‘빔포밍(Beamforming)’과 ‘사운드 캔슬링(Sound Canceling)’을 결합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빔포밍은 소리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고, 캔슬링은 그 외 구역에서 소리가 퍼지지 않게 상쇄시킨다.

예를 들어, 방에 스피커 네 개가 있다고 치자. 이 스피커들이 동시에 소리를 내면서 음파가 겹치고 상쇄되도록 설계하면, 내가 앉은 자리엔 소리가 선명하게 들리고 옆자리엔 거의 들리지 않게 된다. 2023년 ETRI 발표에 따르면, 이 기술은 10cm 이내의 좁은 공간에도 사운드 존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다고 한다. 실험 결과, 목표 구역 밖 소리 세기가 20dB(데시벨) 이상 줄어드는 걸 확인했다고 하니, 효과가 꽤 확실한 셈이다.

 


어디에 쓸 수 있을까?

이 기술이 실생활에 들어오면 활용도가 정말 무궁무진하다. 몇 가지 현실적인 예를 떠올려봤다.

집에서 나만의 오디오 공간

가족이 다 같이 거실에 있어도 각자 다른 소리를 즐길 수 있다. 나는 이어폰 없이 음악을 듣고, 동생은 게임 소리를, 부모님은 드라마를 볼 수 있는 거다. 2024년 CES에서 비슷한 기술을 선보인 노바티스(Noveto)는 “이어폰 없이도 개인 오디오를 즐길 수 있다”며 가정용 데모를 공개했다.

자동차 안 소음 해결사

차 안에서도 유용하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음성을, 뒷좌석 아이들은 영상 소리를 따로 들을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2023년 ‘분리 음향 제어 기술’을 발표하며, 국소 사운드 존과 비슷한 개념을 자동차에 적용 중이라고 밝혔다. 시속 100km에서도 각 자리에서 소리가 섞이지 않는다고 하니, 장거리 여행이 훨씬 쾌적해질 거다.

공공장소에서의 프라이버시

카페나 도서관 같은 곳에서 이어폰 없이 통화하거나 영상을 볼 수 있다면? 국소 사운드 존 포켓은 소리를 나만 들을 수 있게 해주니 주변에 민폐 걱정이 줄어든다. 실제로 일본 소니는 2025년 출시를 목표로 이런 기술을 공공용 오디오 기기에 넣는다고 발표했다.

 


장점과 한계, 현실적으로 따져보자

장점

  • 이어폰 없이 자유로움: 귀 아프게 이어폰 끼지 않아도 개인 오디오를 즐길 수 있다.
  • 공간 효율성: 스피커 몇 개로 여러 사람이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 장비가 덜 필요하다.
  • 몰입감: 2023년 ETRI 실험에서 사용자는 “이어폰보다 공간감이 더 생생하다”고 평했다.

한계

  • 설치 비용: 스피커 배열과 정밀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해서 초기 비용이 높을 수 있다.
  • 공간 제약: 좁은 방에선 사운드 존이 겹칠 확률이 커서 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다.
  • 기술 완성도: 아직 상용화 초기라 소리가 새거나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미래엔 어떤 모습일까?

국소 사운드 존 포켓 기술은 앞으로 더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2025년 3월 기준으로, ETRI는 “소형화와 저전력 설계를 통해 스마트폰에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상해보면, 스마트폰에서 소리를 내 귀에만 쏙 전달해주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2024년 보고서에서 “2027년까지 개인화 오디오 기술이 전체 오디오 시장의 25%를 차지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 VR이나 AR 같은 가상 현실과 결합하면 몰입감이 배가 될 거다. 게임 속 캐릭터가 내 귀 옆에서 속삭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생각만 해도 소름 돋는다. 소니와 삼성 같은 대기업도 비슷한 기술에 투자 중이라, 몇 년 안으로 우리 집 거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될지도 모른다.

 


국소 사운드 존, 내 생활에 들어오면?

솔직히 이 기술을 처음 알았을 땐 반신반의했다. 소리를 공간에 가둔다는 게 말처럼 쉬울까 싶었는데, 자료를 찾아보고 테스트 영상을 보니 정말 가능하더라. 집에서 가족과 소리 싸움 안 하고 각자 즐길 수 있다니, 벌써부터 기대된다. 자동차나 공공장소에서도 소음 걱정 없이 쓸 수 있다면 생활이 훨씬 편해질 거다.

아직은 비용이나 기술 완성도가 걸림돌이지만, 앞으로 더 작고 저렴해진다면 오디오 시장의 판도를 바꿀지도 모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