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잡동사니

윈도우 기반 UMPC에 Bazzite로 스팀 OS 설치하기

nanze 2025. 3. 24. 13:58
반응형

UMPC(Ultra-Mobile PC)는 컴팩트한 크기와 강력한 성능으로 게이밍 팬들 사이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어왔다. 특히 윈도우 기반 UMPC는 다양한 하드웨어 옵션과 소프트웨어 호환성 덕분에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윈도우 운영체제는 게임에 특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이런 점에서 밸브(Valve)의 스팀 OS(SteamOS)를 떠올리게 하는 Bazzite가 주목받고 있다. Bazzite는 페도라 리눅스(Fedora Linux)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커스텀 운영체제로, 스팀 OS의 게임 중심 인터페이스와 성능 최적화를 UMPC에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가이드에서는 윈도우 기반 UMPC에 Bazzite를 활용해 스팀 OS 환경을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풀어본다. 준비물부터 설치, 설정까지 차근차근 다루며, 실용적인 팁도 함께 담았다.

준비물 챙기기, 시작 전 필수 체크리스트

Bazzite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필수 준비물이 필요하다. 먼저, 최소 16GB 용량의 USB 드라이브를 준비하자. 이 드라이브는 Bazzite 이미지를 기록하고 부팅 디스크로 활용된다. 다음으로, Bazzite ISO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공식 Bazzite 웹사이트(bazzite.gg)에서 UMPC와 같은 핸드헬드 기기에 맞는 ‘Bazzite-deck’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버전은 스팀 OS의 게임 모드(Gaming Mode)를 기본으로 부팅하도록 설계돼 있어 UMPC에 최적이다. 다운로드 후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하드웨어 사양도 점검해야 한다. 대부분의 윈도우 UMPC는 인텔 또는 AMD 프로세서를 사용하며, 최소 4GB 램과 128GB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ASUS ROG Ally나 Lenovo Legion Go 같은 최신 UMPC는 AMD Ryzen Z1 시리즈와 높은 램 용량을 갖췄으니 문제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그래픽 칩 호환성도 확인할 만하다. AMD GPU는 리눅스 드라이버 지원이 뛰어나지만, NVIDIA 칩은 일부 드라이버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준비하면 설치 중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유용하다.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설치의 첫 단추

Bazzite를 UMPC에 설치하려면 USB 드라이브를 부팅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Rufus’라는 무료 툴을 사용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Rufus를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뒤 실행하면 USB 드라이브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부팅 선택’ 항목에서 다운받은 Bazzite ISO 파일을 불러오고, 파티션 방식은 ‘GPT’, 파일 시스템은 ‘FAT32’로 설정한다. 최신 UMPC는 UEFI 부팅을 지원하니 이 설정이 적합하다. 모든 옵션을 확인한 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약 10분 내외로 USB에 설치 이미지가 기록된다.

설치 전 UMPC의 BIOS 설정도 손봐야 한다. 기기를 재부팅하고 F2, Del, 또는 F12 키(기기마다 다름)를 눌러 BIOS 메뉴로 들어간다. 여기서 부팅 순서를 USB 드라이브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ROG Ally라면 전원 버튼을 누른 뒤 F2 키를 연속으로 눌러 BIOS에 진입할 수 있다. ‘Boot Override’나 ‘Boot Priority’에서 USB를 최우선으로 설정하고 저장 후 재부팅하면 된다. 부팅이 시작되면 Bazzite 설치 화면이 나타나며, 이제 본격적인 설치로 넘어갈 준비가 된다.

 

Bazzite 설치 과정, 차근차근 따라가기

USB에서 부팅이 완료되면 Bazzite의 설치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표시된다. 처음에는 ‘Live Mode’로 실행돼 UMPC의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나 내장 컨트롤러가 인식되는지, 화면 해상도가 맞는지 점검해보자. 문제가 없다면 ‘Install Bazzite’ 옵션을 선택한다. 설치 위치를 묻는 화면에서 UMPC의 내장 SSD를 지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윈도우와 기존 데이터가 모두 지워진다는 점을 유념하자. 중요한 파일은 미리 외장 드라이브나 클라우드에 백업하는 게 필수다.

설치 중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하는 단계가 나온다. 자동 파티션을 선택해도 되지만, 윈도우와 듀얼 부팅을 원한다면 수동으로 파티션을 나눠야 한다. 별도의 EFI 파티션을 만들면 나중에 윈도우 업데이트로 인한 부팅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디스크 설정 후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UMPC의 작은 화면에서 입력이 불편하다면 USB 키보드를 활용하면 편리하다. 설치 과정은 UMPC 성능에 따라 20분에서 1시간 정도 걸린다. 완료되면 재부팅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뜨고, USB를 제거한 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한다. 이로써 Bazzite가 UMPC에 깔끔하게 설치된다.

 

초기 설정, 스팀 OS 환경 완성하기

재부팅 후 Bazzite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스팀 OS의 게임 모드 화면이 기본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로 인터넷 연결을 설정하자. Wi-Fi를 사용한다면 오른쪽 상단 네트워크 아이콘을 눌러 SSID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유선 연결이라면 USB-C 허브를 통해 자동 연결된다. 인터넷이 연결되면 스팀 클라이언트가 최신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며, GPU 드라이버와 시스템 패치도 함께 적용된다. 이 과정은 몇 분 정도 소요된다.

스팀 계정에 로그인하면 익숙한 스팀 인터페이스가 펼쳐진다. UMPC의 화면 크기에 따라 해상도나 UI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항목을 열어 1920x1200 같은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기기라면 적절히 맞춘다. 컨트롤러 설정도 중요하다. ROG Ally처럼 내장 게임패드를 가진 UMPC는 기본으로 인식되며, 추가로 블루투스 컨트롤러를 연결하려면 블루투스 메뉴에서 페어링하면 된다. 게임 테스트를 위해 ‘셀레스티얼 엠파이어’ 같은 경량 게임이나 ‘사이버펑크 2077’ 같은 고사양 게임을 설치해보면 성능을 실감할 수 있다. Bazzite는 Proton을 통해 윈도우 게임도 매끄럽게 실행한다.

 

Bazzite의 장점과 주의할 점

Bazzite를 UMPC에 설치하면 여러 혜택이 눈에 띈다. 스팀 OS와 유사한 UI는 컨트롤러 중심으로 설계돼 작은 화면에서도 조작이 편리하다. 윈도우보다 부팅 속도가 빠르고 배터리 효율도 개선된다. 예를 들어, ROG Ally에서 윈도우 대비 10~15%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게임 실행 시 사전 셰이더 컴파일로 인해 스터터링(끊김) 현상이 줄어드는 점도 큰 장점이다.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같은 게임에서 윈도우보다 부드러운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몇 가지 주의할 점도 있다. NVIDIA GPU를 사용하는 UMPC라면 드라이버 설치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Bazzite는 AMD 중심으로 최적화돼 있어 인텔이나 NVIDIA 칩에서는 약간의 조정이 요구된다. 또한, 윈도우 전용 소프트웨어나 안티치트 시스템(예: Valorant)이 필요한 게임은 실행이 어렵다. 이런 경우 듀얼 부팅으로 윈도우를 남겨두는 방법이 유용하다. 설치 후 문제가 생길 때를 대비해 Bazzite의 롤백 기능도 알아두자. 시스템 업데이트로 오류가 생기면 이전 이미지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문제 해결과 커뮤니티 활용법

설치나 실행 중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부팅이 안 된다면 BIOS에서 Secure Boot를 비활성화하거나 USB 부팅 우선순위를 재확인한다. 화면이 깨져 보인다면 Live 모드에서 다른 드라이버를 선택해본다. 사운드가 나오지 않는다면 터미널에서 ‘alsamixer’를 실행해 볼륨을 조정하거나 커뮤니티 패치를 찾아 적용한다. Bazzite 공식 GitHub와 Reddit의 Steam Deck 포럼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실제 사용자들이 올린 경험담과 솔루션이 풍부하니 적극 활용해보자.

윈도우 기반 UMPC에 Bazzite를 설치하면 스팀 OS의 장점을 누리며 게임에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약간의 준비와 설정 과정이 필요하지만, 결과는 그 노력 이상의 가치를 준다. ROG Ally나 Legion Go 같은 기기를 콘솔처럼 활용하고 싶다면 이 가이드를 따라 도전해보는 것도 좋다. 작은 UMPC에서 펼쳐지는 강력한 게이밍 경험은 분명 매력적이다. 설치에 앞서 공식 사이트와 커뮤니티를 참고하면 더 원활한 과정을 기대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