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은행권에 임베디드 금융이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물결 속에서 은행들은 유통업계와 손잡고 제휴통장을 잇따라 선보이며 고객층 확대와 수익성 강화를 노리고 있다. 특히 대중 고객을 보유한 유통 플랫폼과의 협업은 은행과 유통업계 모두에게 윈윈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임베디드 금융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은행과 유통업계의 협업 사례를 통해 이 새로운 금융 트렌드가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 살펴본다.
임베디드 금융이란 무엇인가
임베디드 금융은 은행의 금융서비스를 비금융기업의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녹여 제공하는 모델이다. 고객이 은행 앱이나 지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앱이나 플랫폼에서 금융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쇼핑 앱에서 물건을 구매하면서 바로 결제 계좌를 개설하거나, 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식이다.
이런 방식은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은행과 비금융기업 모두에게 큰 이점을 가져다준다. 은행은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저원가성 예금을 통해 순이자마진(NIM)을 방어할 수 있다. 반면, 유통업체는 금융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며 고객을 자사 플랫폼에 더 오래 머무르게 하는 ‘록인(lock-in)’ 효과를 얻는다. 디지털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유통업계와 은행의 니즈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며, 이 협업은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다.
은행과 유통업계, 왜 손을 잡았나
유통업계는 대중 고객이 몰리는 B2C(기업-소비자) 시장의 중심에 있다. 수백만 명의 고객이 매일 쇼핑 플랫폼을 방문하고, 결제를 하고, 데이터를 남긴다. 은행 입장에서는 이런 대규모 고객층을 신규 고객으로 끌어들이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금리 인하 기조 속에서 저원가성 예금을 확보해 수익성을 유지하려는 은행의 전략이 유통업계와의 협업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통업계 역시 치열한 경쟁 속에서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고 플랫폼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금융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면 고객이 플랫폼을 떠나지 않고 더 자주, 더 오래 머물 가능성이 커진다. 이런 상호 이익을 기반으로 은행과 유통업계는 제휴통장, 맞춤형 금융상품, 심지어 공급망 금융서비스까지 다양한 협업 모델을 만들어내고 있다.
NH농협은행, 컬리페이와의 협업으로 임베디드 금융 본격화
NH농협은행은 최근 간편결제 서비스 컬리페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제휴통장을 출시하기로 했다. 이 협업은 단순한 통장 출시를 넘어, 컬리 플랫폼의 동반성장을 위한 금융지원과 양사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까지 포함한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임베디드금융국을 신설하며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컬리페이 제휴통장은 고객이 컬리 앱 내에서 바로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NH농협은행은 임베디드 금융을 통해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유통 플랫폼의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컬리라는 대중적인 이커머스 플랫폼과의 협업은 특히 젊은 고객층을 겨냥한 전략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 임베디드 금융의 선두주자
임베디드 금융의 대표 주자로는 KB국민은행을 빼놓을 수 없다. KB국민은행은 스타벅스와 협업해 선보인 ‘KB별별통장’의 성공을 발판으로 협업 대상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SSG닷컴과 손잡고 ‘쓱KB은행’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SSG닷컴 플랫폼 내에서 KB국민은행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입점 셀러들에게 우대금리와 판매대금 선정산 같은 공급망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GS리테일과도 ‘GS통장(가칭)’ 개발을 논의 중이다. GS25와 같은 대형 편의점 네트워크를 활용해 GS페이 결제와 연계된 혜택, 예를 들어 상품 할인 같은 프로모션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KB국민은행은 다양한 유통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임베디드 금융의 가능성을 계속해서 탐색하고 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차별화된 제휴통장 전략
우리은행은 CJ페이와 협력해 ‘CJ페이 우리통장’ 출시를 준비 중이다. CJ그룹의 막강한 유통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객들에게 결제와 금융 혜택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려는 전략이다. 한편, 하나은행은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과 손잡고 ‘당근머니 하나통장’을 선보였다. 이 통장은 사용 실적에 따라 최고 연 3.0%의 금리를 제공하며, 당근마켓의 높은 사용자 참여도를 금융서비스로 연결한 사례다.
이들 은행은 유통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고객의 생활 패턴에 맞춘 맞춤형 금융상품을 제공하며, 단순한 예금 계좌를 넘어 고객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고 있다.
카카오뱅크, 제휴통장의 원조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는 제휴통장의 원조 격이다. 2020년 이마트와의 파트너적금을 시작으로, 26주 적금, 저금통, 기록통장, 한달적금 등 다양한 플랫폼 금융상품을 선보였다. 카카오뱅크는 현대백화점을 포함한 15개 기업과 제휴를 맺으며 누적 약 550만 계좌를 개설하는 성과를 거뒀다. 카카오뱅크의 성공은 다른 은행들에게도 임베디드 금융의 잠재력을 보여준 사례로, 은행과 유통업계의 협업 트렌드를 선도했다.
임베디드 금융의 미래와 전망
은행과 유통업계의 협업은 단순한 제휴통장을 넘어, 디지털 금융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고객은 더 편리하고 개인화된 금융서비스를 경험하고, 은행은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하며 수익성을 강화한다. 유통업체는 플랫폼의 가치를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같은 문제도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고객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투명성과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이다.
'일상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만세 80주년 적금, 하나은행의 특별한 보훈 금융 상품 (0) | 2025.06.12 |
---|---|
OK저축은행의 신규 적금 상품, OK읏수저적금으로 재테크 (0) | 2025.06.12 |
성수동 신흥 부촌의 로또 청약, 오티에르 포레 분양 정보 (0) | 2025.06.10 |
NH농협생명 면역쏘옥NHe통풍대상포진보험, 소액으로 큰 보장 (0) | 2025.06.09 |
DSR 3단계 규제 앞두고 알아야 할 은행별 대출 전략 (0) | 2025.06.09 |